GET2_Oil on Canvas 45.5x33.4cm
제주--(뉴스와이어)--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Thomas VanDyke Gallery)에서 김재이 작가의 개인전이 개최된다. 지난해 김재이 작가의 첫 번째 뉴욕 진출전에서 전 작품 매진이라는 성공적인 성과에 힘입어 오는 11월 15일부터 두 번째 개인전이 시작된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뉴욕의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와 제주에 소재한 ‘갤러리 제주’와의 협업으로 이뤄져 도시와 섬을 연결하는 김재이 작가 특유의 감성을 제주에서 뉴욕까지 전달하는데 그 의미가 깊다.
김재이 작가는 이번 전시회 ‘평화의 섬’에서 전혀 다른 두 명의 소녀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이끌어간다. 빠르게 돌아가는 도시에서의 삶을 살아내야 했던 작고 내성적인 피에로 소녀와 척박한 섬에서 어린 동생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맨몸으로 바닷속에서 물질을 해야 했던 어린 해녀의 고단하고 치열했던 삶을 각기 다른 색채와 배경으로 그려낸다.
작품 속 등장인물 중 하나인 피에로 소녀는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 자화상으로부터 시작됐으며 두 번째 등장인물인 어린 해녀는 작가가 서울에서의 삶을 뒤로하고 제주로 이주한 뒤 만나게 된 연로한 해녀들을 탐구하며 그녀들의 어린 시절에 대한 호기심과 존경을 담아 표현되기 시작했다. 그렇게 전혀 다른 환경과 시대의 두 소녀는 그곳에서 조우했으며 공감됐다.
“피에로 소녀는 누구보다 빨리 달릴 수 있는 얼룩말이 되고 싶어 했고 어린 해녀는 섬에는 존재하지 않는 용맹한 호랑이를 찾고 싶어 했습니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그렇게 불확실한 미래를 위해 하루하루를 지난하게 살아내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가질 수 없다고 해도, 결코 만날 수 없다고 해도 끝끝내 포기하지 않는 것은 내가 현재의 삶을 충분히 사랑하며 가치 있게 영위하고 있다는 증거일 것입니다.” _ 작가노트 중
김재이 작가는 이처럼 자신을 투영한 피에로 소녀 연작에서 과감한 색채로 인간 내면의 성장통 이야기를 격정적으로 표현한다면 제주도의 해녀를 작품에 담아낼 때에는 그보다는 절제된 색채와 고요함을 표현한다. 이러한 특징은 서울 태생인 작가가 젊은 시절을 보낸 도시에서의 삶과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며 정착한 제주에서의 삶, 그 극명한 간극에서 비롯돼 마치 격정과 서정 사이를 쉼 없이 오가며 작가 스스로 물음과 답을 주고받으며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 자유를 갈망하는 듯하다.
그러나 전혀 다른 듯한 두 주제의 작품 속을 내밀히 들여다보면 그 중심에는 젊은 시절 겪은 숱한 좌절 후에도 끝내 버리지 않았던 희망을 담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2017년 미국으로 건너가 끝내 순수 미술화가로 정식 데뷔를 이뤄낸 작가의 삶에서 시작된 물음은 아직도 작가의 작품을 통해 어린 시절의 꿈이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우리에게 되던지고 있다. 그의 작품이 보는 이로 하여금 공감과 희망을 자아내게 하는 이유는 나와 다르지 않은 어려움을 겪어내었던 작가의 물음에 가슴속 깊이 묻어뒀던 우리의 순수했던 소망들을 다시 한번 끄집어낼 수 있는 울렁임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1950년대의 어린 해녀와 1980년대의 피에로 소녀의 이야기를 2025년 뉴욕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에서 작품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는 작지만 강인한 두 소녀를 만나볼 수 있도록 관람자를 초대한다.’ _ Thomas VanDyke Gallery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 소개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Thomas VanDyke Gallery)는 2022년 뉴욕 브루클린에 설립된 현대 미술관으로, 뉴욕시 및 전 세계의 예술가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 갤러리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의 창작 과정을 촉진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레지던시를 운영하며 혁신적인 전시회로 명성을 쌓아왔다.
갤러리 제주 소개
갤러리 제주는 제주도에 위치한 아트 매니지먼트다. 갤러리 제주는 제주도뿐만이 아닌 서울과 그 외 타 지역, 그리고 미국, 대만 등 여러 외국에서의 전시회를 전문 기획하며 잠재력 있는 신진, 기성작가와 저력 있는 갤러리를 찾아내고 이어주는 충실한 가교 역할도 병행하고 있다.